부산제중한의원 구환석원장님 프라임경제 [칼럼] 땀의 원재료는 음식의 진액, 그렇다면 다한증은…

[프라임경제] 날씨가 더워지기 시작하면서 초여름에 접어든 요즘, 땀이 많이나는 사람에게 이 더운 계절은 고역이 아닐 수가 없다. 땀이 많이 나면 본인도 불편하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땀 냄새, 젖은 땀 접촉 등의 불쾌감을 줄 수 있어 사람이 많은 곳에 가는 것이 곤욕스러울 수 있다. 이처럼 일반 사람에 비해 과도하게 땀 분비가 일어나는 것을 다한증이라고 한다.

다한증은 시간에 따른 구분으로 동의보감에는 자한(自汗)과 도한(盜汗)으로 기재되어 있다. 자한(自汗)은 주로 낮에 활동시 온몸에 땀이 줄줄 흘러내리는 것으로 기허(氣虛)에서 오는 경우로 소음인에게 많이 나타나며 도한(盜汗)은 밤에 잘 때 땀이 음허(陰虛)와 혈허(血虛)로 인한 열로 땀이 과도하게 나는 증상으로 소양인과 태음인에게 주로 나타난다. 

△두한증 △수족다한증 △안면다한증 △전신다한증 등 국소성 다한증은 체질의 특이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땀이 나는 부위에 따라 머리에 특히 땀이 많이 나는 두한증은 태음인과 소양인, 전신다한증은 태음인, 수족다한증은 소음인에게 주로 발생된다. 그중에서 특히 수족다한증은 수족냉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다한증의 서양의학적 치료는 국소적 약물을 바르거나 전신적 약물투여(항콜린성 약물 및 진정제), 전기를 이용하는 이온영동법(iontophoresis), 정신치료 등이 있으며 그 외 침습적 치료 방법으로 보톡스 주입 및 지방흡입술 등이 있다. 

다한증 수술은 교감신경을 절제하는데 땀을 내는 근본적인 문제가 치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런 수술을 하면 기존에 땀이 나던 부위는 다소 개선이 될 수 있지만 몸 내부에서는 계속 땀을 많이 배출시키기 때문에 수술 후에는 엉뚱한 곳에서 다한증이 생길 수 있다.

땀의 원재료는 우리가 먹는 음식에서 만들어진 진액(津液)이다. 이 진액(津液)은 우리의 체액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런 체액이 과도하게 배출이 되면 에너지를 빼앗기게 되고 면역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한의학에서 다한증치료는 사상체질(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을 먼저 확인한 후 현재 몸 상태를 진단하고 오장육부의 기능을 균형 있게 조율해 몸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처방을 하고 있다. 또한 땀도 우리 몸에서 만들어진 체액이기 때문에 땀으로 진액(津液)이 빠져나가는 다한증이라면 진액을 보충하는 처방을 받아야 된다.

다한증의 한방치료 기간은 자한(自汗)과 도한(盜汗)은 1~2개월 한약을 복용하면 되고 수족다한증과 두한증은 2~4개월 정도 사상체질 한약으로 치료하면 된다.

본원에 다한증으로 내원한 A씨(남, 40대)는 사상체질 중 소양인으로 얼굴과 머리에 과도하게 땀이 나는 두한증으로 날씨가 많이 덥지 않아도 땀이 많이 나 불편을 호소했다. 이에 소양인의 가슴 부위 열을 풀어주는 '지황백호탕'을 한 달 복용한 A씨는 땀이 현저히 줄게 되었다. 소양인의 경우, 화열(火熱)이 항상 문제가 되기 때문에 열을 내려주는 청열 처방인 ‘지황백호탕’으로 다한증을 치료한 경우이다.

태음인과 소양인은 전체적으로 땀이 적당히 많은 것이 건강하고 너무 적게 나면 건강하지 않은 것이다. 또 소양인이 발에 땀에 나지 않아 양말이 돌아갈 정도면 건강상태가 아주 안 좋기 때문에 당장 치료가 필요하다. 그에 비해 소음인과 태양인은 땀이 적게 나는 것이 건강하다. 소음인에게 나타나는 두한증과 전신다한증은 건강이 매우 안 좋은 적신호이다.

구환석 원장 | press@newsprime.co.kr | 2022.05.22